본문 바로가기

경제 정보

청년희망적금 2025 청년도약계좌 차이점 완벽 비교!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는 모두 청년자산형성지원 정책입니다. 그러나 청년희망적금은 2022년에 시작해 2023년에 종료된 지원정책이고 그 후속작으로 나온것이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오늘은 두 지원정책의 차이점과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전환하는 방법까지 상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청년희망적금 2025 청년도약계좌 차이점 완벽 비교!

 

청년희망적금 vs 청년도약계좌

대통령에 따른 새로운 정부정책을 펼치느라 지원정책이 정부마다 바뀌는데요, 이번에 새로운 대통령이 당선된 만큼 다른 청년적금이 출시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항목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2022년 ~ 2023년 2023년 ~현재까지
가입 나이 만 19~34세 만 19세~34세
소득 기준 연소득 3,600만 원 (또는 종합소득 2,600만 원) 이하 연소득 7,500만 원 (가구 중위소득 250%) 이하
납입 한도 월 최대 50만원 월 최대 70만원 자유납입
정부 지원 1년차 2% + 2년차 4% (만기 시 일시 지급) 소득 구간별 매칭: 최대 월 3.3만 원 (연 9.54%)
만기 및 세금 만기 2년, 이자 비과세 만기 5년, 이자 비과세

 

청년도약계좌의 개선 사항

  • 일시납입 제도 시행
  • 소득요건 확인 시 비과세 소득인 군 장병 급여도 소득으로 인정
  • 정부 기여금 상향: 매월 최대 3만 3천 원 (연 환산 시 9.54% 효과)
  • 소득 구간 무관 매칭: 소득 상관없이 월 최대 70만 원
  • 중도해지 부분 보호: 3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유지 +기여금 60% 지급
  • 부분인출 기능: 가입 2년 후부터 납입원금의 최대 40%까지 인출 가능

정부기여금 지급액 바로보기

 

청년희망적금 수령 후 일시 납입

청년희망적금을 만기까지 유지한 청년이면서 청년도약계좌 가입요건을 충족한 청년이라면 일시납입이 가능한데요, 일시납입금액은 최소 200만 원 부터 최대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 (원금+이자+지원금) 으로 받은 금액까지 일시에 납입할 수 있습니다.

 

 

월 설정금액을 40, 50, 60, 70만 원 중 하나를 선택하면 가입자가 선택하는 월 설정금액으로 매월 전환납입된다고 간주합니다. 예를 들어 월 40만 원으로 설정한뒤 280만 원을 일시납입하면 7개월 치로 납입 인정하는 구조입니다.

 

신규납입은 전환기간에는 추가 납입이 불가능하고 해당 회차가 끝난 후에 다시 납입 가능하며 60개월 (5년)에서 일시납입금 전환기간을 뺀 기간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내에서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주요 장점

  • 가입 대상: 청년도약계좌는 소득 요건 확대
  • 납입 + 정부지원: 청년도약계좌가 더 많은 납입액과 지원 가능

 

  • 만기 및 세금: 청년도약계좌는 5년 만기에 비과세 유지
  • 유연성: 중도해지 보호, 신용점수 혜택, 부분인출 제공

 

청년도약계좌 꿀팁 및 주의할 점

청년도약계좌는 모든 은행을 통틀어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 가능하고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유지하고 있는 경우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더 나아진 청년도약계좌에 신청하실 수 있는 조건이 되신다면 매월 초 신청할 수 있으니 유리한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